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카카오톡채팅봇
- 파이썬중급강의
- 인프런파이썬강의
- 우리를위한프로그래밍
- 인프런강의
- Python3
- 스위프트
- 인프런
- SwiftUI
- 유학토플
- 파이썬웹크롤링
- 토플
- 웹크롤링
- 파이썬
- 자바스크립트
- IOS프로그래밍
- 리프2기
- 인프런파이썬
- 파이썬중급
- 노드JS
- 인프런오리지널
- 프로그래머스
- rxswift
- IOS
- swift
- uikit
- nodeJS
- 토플공부수기
- JS
- 교환학생토플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assport (1)
먹고 기도하고 코딩하라
Passport.js 로컬 인증 방식 사용법과 동작 흐름
Passport.js는 Node.js를 위한 인증 미들웨어이다. OAuth를 이용한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혹은 전통적인 로컬 인증 방법(DB에 저장된 계정 정보로 로그인) 등 여러 가지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개별 인증 방법을 Strategy라고 부른다. 현재 500개가 넘는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도 가능하다. Strategy는 passport 의존성과 별개로 설치를 해줘야 한다. 여기서는 OAuth를 통한 인증 방법은 다루지 않고 로컬 인증 방법만 다룬다. 추후에 OAuth 인증 방법을 다시 다룰 예정이다. 설치 > npm i passport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assport..
Javascript
2020. 8. 20. 14:43